PCDuckHu's Story
















#출처 : 네이버 포스팅


http://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2691213&memberNo=11710666&mainMenu=GAMEAPP




전 세계적으로 비트코인의 붐은 실로 대단했다. 


그리고 코인을 얻기 위한 암호 해독.. 즉, 채굴에 대한 열정도 역시 대단했다.


이번 한국 그래픽카드 파동 사태는 역시나 자본력에 이끌린 희생의 결과로 볼 수 있다.


1. 그래픽 카드의 공급량은 일정 했는가?


OEM 제조국에서 생산라인은 여느때보다 풀가동 되었다. 


중국 명절에 대한 영향?


글쎄.. 




2018년 중국 휴무일

  1. 11일 휴무

  2. 215~221 7일간 구정휴가(211일 일요일,224일 토요일 출근)

  3. 45~47 3일간 청명절휴가(48일 일요일 출근)

  4. 429~51 3일간 노동절휴가(428일 토요일 출근)618일 단오절휴가

  5. 924일 추석휴가

  6. 101~107 7일간 국경일휴가(929일 토요일,930일 일요일 출근

  7. 주말과 일요일을 제외하고 총23일간이 공식 휴무일임




우리나라 보다 많아 보이긴하다.. 


하지만 공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수준은 아닌 결론



2. 유통사(총판)에서 재어 놓기?


대리점의 꼼수는 어딜 가나 존재한다.


허나, 50만원이던게 100만원으로 점핑이 될 지경까지 고의적 유통 중단일까


이것이 원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한국의 영세한 총판, 대리점에서는 티나는 꼼수를 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조사 역시 그런 대리점과는 거래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 위험한 짓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슈화 되면 정부의 경고 대상.



하지만 중간 유통 수급된 물량이 없으니..


아주 천천히 물건을 꺼내는 이유가 따로 있는 것이다..




3. 제조사에서 마진을 올리기 위한 공급량 조절?


서로 경쟁 제조사들끼리 단합을 하지 않는 이상.. 거의 불가능하다.


이 넘치는 거품과 수요량이 언제 꺼지질줄 알고 소비자와 유통사 대상으로 우롱하는가?


제품의 원가는 한번 올라가면 내리기 힘든 것이 시장 이치..


상식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이것 역시 경향 일부는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은 간과해서는 안된다.



..



그러면, 파동의 큰 영향은 무엇을까?



필자는 이렇게 생각한다.


"자본에 굴복한 제조사의 비정상적인 배급"


이익단체는 돈을 향해 몸을 튼다. 


당연한 이치...



거래량이 높고,

단가 좋고,

파워 있는 거래처와 거래를 하고 싶은 것이 당연하다.



어딜까? 



ㅎㅎ


우리나라는 아니야.. 


 IT 강국은 맞지만 자본을 쥐락펴락 하지는 못해


그럼 대충 느낌오지.. 



...





뭐 어찌됬든.. 빨리 안정화가 되길 바란다.